직장인 및 사회초년생들은 세금을 몇 % 나 떼어갈까?
많은 사람들이 나라에서 30프로를 떼어가네,
연봉이 1억이면 무슨 40프로를 떼어가네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정말정말 많다

1억벌면 세금을 50프로 떼어간다느니, 등등...
실제로 우리회사같은 경우에는 성과급이 목돈처럼 연초에 나와서
30%의 세금을 떼어가곤 하는데,
그것만 보고 단편적으로 우리는 세금을 30프로를 내고 있어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.
이런걸 보면 참 안타깝다는 생각이들고,
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정확히 얼마나 세금을 떼어가는지 알았으면 좋겠다.
먼저 연말정산이란
연말정산 정의
: 월별로 ‘간이’ 징수한 소득세와 연말 최종 계산된 ‘결정’ 소득세를 대조하여 환급 또는 추가납부로
차액을 정산하는 일
일단, 간단하게 비교하고자하면, 내 연봉일때 얼마의 세금을 떼어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
이 표를 보고 한ㄷ번에 이해할수 있다.
대략 5천 정도 연봉이라고 하면 세율은 15프로 인 셈인 것이데,
그러면 7천 8천을 버는사람들은 세율이 24프로 일까?
24년도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개정안
그건 절대아니다!

연말정산 프로세스를 생각하면 확실히 알 수 있는데,
내가 연봉 7천만원을 번다고 생각하면
7천만원에 대한 세금을 모두 떼는것이 아니다.
아래의 프로세스대로 순서대로 진행되는데
가장 먼저 기본적으로 소득에 대한 공제가 꽤나 크게 들어간다.
그래서 내가 7천을 벌면 기본적으로 1400만원은 뺀 (대략)
5500만원을 번 사람이 되도록 만들어 주는것이다.
그러고 나면이 외에도 다른 소득공제를 통해서 내가 1년동안 번 소득을 공제해준다.
그러면 이 외에도 세액공제를 통해서 내가 낼 실질 세금에서 또 직접적으로 제외를 해준다.

그러면 나의 최종 1년동안 내는 세금이 결정되는데
무튼 세액공제를 제외하더라도,
내가 7천정도 버는사람이라면 기본 소득공제 1500만원정도에
1인 인적공제 150만원, 기타 소비 및 대중교통 이용 이정도만 제외해도 5300만원 ?
높게 잡아야 5300만원이 된다고 볼때
그러면 세율 구간이 5300이면 24% 네 ? 는 또 절대 아니다
1400만원 이하는 6% 적용
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에 대해서는 15%를 적용
초과하는 300만원에 대해서만 24%를 적용한다.
<결론>
공제 이후 -> 1년간 낸 세금 /1년간 받은 돈 = ?? % (4대 보험 제외)
- 나 = 10% 미만
- 신입사원 = 10% 미만
- 2년차 = 10% 미만

즉 7천 정도 벌고 아무것도 소득, 세액공제를 하지 않는 사람도 15% 이하를 적용 받는셈이고
1억을 버는 수준이더라도 5천 넘는 금액에 대해서만 24%를 적용하기 때문에
전체 평균으로 게산하면 20%의 세금도 내기 힘든게
한국의 세율 구간이다 .
'연말정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연말정산, 무엇이 달라졌을까? (0) | 2025.02.22 |
---|---|
23년도 연말정산 환급액 결과 검산 및 확인해보기 (0) | 2024.02.15 |
나는 세금을 얼마 돌려받을까?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모의 세액계산 방법 공유 (0) | 2024.01.22 |
연말정산 신용카드 대중교통 포함 소득공제 계산해보기 (2) | 2024.01.20 |
2023년 연말정산 소비 신용카드 소득공제 모의계산 해보기 (0) | 2024.01.16 |